우리가 흔히들 말하는 공부(工夫)는 학습(學習)을 의미하지 공부라 볼 수 없다. 고3 수험생들의 공부, 공무원 시험 공부, 자격증 시험 공부, 승진 시험 공부 등등.. 거의 대부분 우리가 공부라 부리우는 것들은 실제 공부라기보다 학습을 의미한다. 물론 그러한 것들도 공부의 일 부분이긴 하지만, 우리는 너무 공부의 의미를 축소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발휘한다.
셋이 길을 가다보면 그중 한명은 스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어느 상황 어느 곳에서도 공부란 존재 한다.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동, 식물 혹은 무생물에게서도 배울 수 있고, 깨침을 얻을 수 있다.
공부는 도(道)를 깨우치는 것이지 배우고 익히는 따위의 것이 아니다. 물론 배우고 익히는 것도 공부에 포함되기는 하지만 그것이 전부라는 말은 아니다. 마치 필자가 도인인양 떠드는 것 같아 겸연스럽지만, 공부라는 단어를 너무 하잘것 없는 데에 갖다 붙이는 이들이 많아 잠시 고고(孤高)한 척 해본다.
굳이 한자어를 분석에 보자면 공부(工夫)는 '장인 공(工)', '사내 부(夫)'를 쓴다. 工은 一과 一이 위아래로 연결된 형태다. 위쪽의 一은 하늘(天)을 나타내며 아래쪽의 一은 땅(地)을 나타낸다. 따라서 工은 하늘과 땅을 연결시켜준다는 의미다.
夫 역시 마찬가지다. 工과 마찬가지로 하늘과 땅을 연결 시켜주는데.. 가운데 보면 사람인(人)자가 들어있다. 하늘과 땅을 사람이 연결시켜준다는 말이다.
이렇게 공부는 하늘과 땅을 연결시켜주는 작업을 말한다. 종교인으로 말할 것 같으면 절대자의 뜻을 따르며 절대자와 자신을 곧게 연결하는 것이 공부라 할 수 있을것이며, 필자의 경우 하늘과 나를 연결시킨다 함은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를 깨닫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공부는 세상의 이치를 깨닫는것이지 단순히 기술적 지식 몇개 습득하는 것이 아니다.
셋이 길을 가다보면 그중 한명은 스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어느 상황 어느 곳에서도 공부란 존재 한다.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동, 식물 혹은 무생물에게서도 배울 수 있고, 깨침을 얻을 수 있다.
공부는 도(道)를 깨우치는 것이지 배우고 익히는 따위의 것이 아니다. 물론 배우고 익히는 것도 공부에 포함되기는 하지만 그것이 전부라는 말은 아니다. 마치 필자가 도인인양 떠드는 것 같아 겸연스럽지만, 공부라는 단어를 너무 하잘것 없는 데에 갖다 붙이는 이들이 많아 잠시 고고(孤高)한 척 해본다.
굳이 한자어를 분석에 보자면 공부(工夫)는 '장인 공(工)', '사내 부(夫)'를 쓴다. 工은 一과 一이 위아래로 연결된 형태다. 위쪽의 一은 하늘(天)을 나타내며 아래쪽의 一은 땅(地)을 나타낸다. 따라서 工은 하늘과 땅을 연결시켜준다는 의미다.
夫 역시 마찬가지다. 工과 마찬가지로 하늘과 땅을 연결 시켜주는데.. 가운데 보면 사람인(人)자가 들어있다. 하늘과 땅을 사람이 연결시켜준다는 말이다.
이렇게 공부는 하늘과 땅을 연결시켜주는 작업을 말한다. 종교인으로 말할 것 같으면 절대자의 뜻을 따르며 절대자와 자신을 곧게 연결하는 것이 공부라 할 수 있을것이며, 필자의 경우 하늘과 나를 연결시킨다 함은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를 깨닫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공부는 세상의 이치를 깨닫는것이지 단순히 기술적 지식 몇개 습득하는 것이 아니다.